보신 것처럼 광주·전남 가뭄 상황, 역대 가장 오랜 기간 지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상·재난 전문기자와 함께 원인이 뭔지, 앞으로는 어떻게 될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. 김민경 기자! <br /> <br />광주·전남 가뭄, 도대체 원인이 뭔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가장 큰 원인은 지난여름 장마가 제 역할을 못 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여름이 되면 따뜻하고 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확장하면서 우리나라 부근으로 올라옵니다. <br /> <br />이때 위에서는 찬 공기도 함께 내려오게 되는데요. <br /> <br />두 개의 서로 다른 성질의 공기가 팽팽히 맞서면서 긴 띠 모양의 정체전선이 만들어지게 됩니다. <br /> <br />이 정체전선이 폭이 좁고 긴 띠 모양의 강한 비구름을 발달시켜서 장마가 발생하는 건데요. <br /> <br />그런데 지난여름에는 유독 이 정체전선이 중부지방에만 머무르면서 <br /> <br />중부지방에는 폭우를 쏟아내고, 남부지방에는 장마철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비가 내린 것이 가뭄의 시작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장마철 강수량을 보면 이런 상황이 명확해집니다. <br /> <br />중부지방은 서울이 552.6mm, 서산 486.6mm로 많은 양의 비가 내렸지만, 남부는 광주 209.6mm, 대구도 124.8mm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평년 강수량보다 많았던 중부지방에 비해 남부지방은 평균 202.3mm로 절반 수준에 그친 겁니다. <br /> <br /> <br />장마가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. 그럼 장마 이후에는 어땠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장마 이후에도 상황은 비슷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6개월 동안의 강수량을 보면, 수도권과 강원 등 중부지방은 평년에 비해 많은 양의 비가 내린 데 비해, 남부지방은 최근 강수량이 평년보다 적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가뭄이 심한 광주·전남 지역은 176.3mm로 평년과 최근 강수량의 폭이 가장 컸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지난해 지역별 가뭄 발생 일수는 남부지방은 200일을 훌쩍 넘겨 1년의 절반 이상이 가뭄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광주·전남 지역은 기상 관측이 전국적으로 시작된 1974년 이후 역대 가장 긴 281.3일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럼 남부지방 가뭄, 앞으로는 얼마나 더 이어지는 걸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보시는 화면은 현재 가뭄 지수를 보여주는 분포도인데요. <br /> <br />전반적으로 남부지방에 가뭄이 지속되고 있고, 특히 광주·전남과 경상권 곳곳에는 그 강도가 조금 더 심합니다. <br /> <br />기상청의 가뭄 전망을 보면, 4월에 남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할 것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민경 (kimmin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3032314183587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